<aside> 💡
[총 피드백]
각 문서 모두 협업 시 사용되는 문서로 필요한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데요, 엑셀시트형 IA는 메뉴를 분류 및 그룹화하여 Depth 파악과 각종 히스토리를 기록하기에 용이하다면, 트리구조의 IA는 조금 더 도식화되어 사이트의 구조와 사용자가 사이트를 이용하는 동선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두 형식 모두 협업을 위한 문서로, 문서의 목적이 어떠한 목적인지를 고려하면서 제작해준다면 더욱 협업하기 좋은 문서를 제작할 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:)
전반적으로 꼼꼼하게 잘 작성해주셨는데요, 질문사항에 대한 답변+몇가지 개선사항과 더불어 트리구조 IA의 ‘도식화’라는 장점을 살리기 위해 몇가지 방법을 제안해드립니다.
</aside>
IA 개선사항
1번 내용에 대한 답변) 장바구니는 지금 작성해주신 것처럼 기재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. 다만 장바구니의 ‘전체 상품 예약’의 경우 버튼의 **‘버튼의 속성 / 콘텐츠’**이지, **‘뎁스 or 페이지’**는 아니므로, ‘예약신청’ 정도로 묶어 표현해주신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.
2번 내용에 대한 답변) 질문해주신 공통 페이지의 경우 처리방법은 다양하지만, **‘공통 페이지’**라는 별도의 색깔 박스를 생성해 각각의 트리구조를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.
<aside> 💡
예시화면) 공통 페이지에 명칭을 붙여주고, 각각의 트리구조를 만들어 한 곳에 모아두면 디자이너&개발자가 공통 컴포넌트를 개발하는 데에도 용이할 수 있습니다.
</aside>
‘나의 크레딧 관리’부분에 ‘크레딧 충전/환불 > 충전하기’ 내용이 하나 누락된 것 같아, 내용적인 부분 전달드립니다.
추가적인 사항으로 ppt 한 페이지에 넣고자 트리의 구조가 틀어진 것으로 이해 되는데요, 디자인 요소는 중요하지 않지만 트리구조의 행과 열을 정돈해준다면 조금 더 깔끔한 IA를 만들 수 있습니다.
<aside> 💡
예시화면) 상단 구조를 살짝 바꾸어보았는데요, 이처럼 행과 열을 일자로 정돈해 구조가 한눈에 보이도록 해줄 수 있습니다.
</aside>
코멘트
과제 수행하시느라 정말 고생많으셨습니다! 짧은 시간 내에 고민을 많이 해주신 것 같아요! 트리구조 IA의 목적을 이해하고 위 사항들을 고려해 제작해주신다면, 조금 더 도식화의 장점을 살린, 한눈에 이해할 수 있는 문서가 될거라고 생각됩니다: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