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aside> 💡
[총 피드백]
각 문서 모두 협업 시 사용되는 문서로 필요한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데요, 엑셀시트형 IA는 메뉴를 분류 및 그룹화하여 Depth 파악과 각종 히스토리를 기록하기에 용이하다면, 트리구조의 IA는 조금 더 도식화되어 사용자가 사이트를 이용하는 동선과 사이트의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두 형식 모두 협업을 위한 문서로, 문서의 목적이 어떠한 목적인지를 고려하면서 제작해준다면 더욱 협업하기 좋은 문서를 제작할 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:)
전반적으로 깔끔하게 잘 제작해주셨는데요, 트리구조 IA의 목적에 맞게 몇가지 개선사항들을 전달드립니다.
</aside>
IA 개선사항
트리구조의 IA는 사이트의 구조를 파악하고자 만들어진 페이지로, 콘텐츠에 해당하는 내용은 삭제해주는 것이 좋습니다.
GNB 메뉴 아래 **‘서비스 소개 바로받기 / 회사 등록하기…등등’**은 **‘콘텐츠’**이지, **‘뎁스 or 페이지’**는 아니므로 이러한 부분들은 생략해주는 것이 좋습니다.
<aside> 💡
예시화면)
</aside>
장바구니의 ‘전체 상품 예약’의 경우 또한 버튼의 **‘버튼의 속성’**이지, **‘뎁스 or 페이지’**는 아니므로, ‘예약신청’ 정도로 묶어 표현해주신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.
내용적인 부분들도 몇가지 피드백 드립니다.
추가적으로 디자인 요소는 중요하지 않지만 트리구조의 선을 깔끔하게 정돈해준다면, 페이지에 대한 구조가 더 잘 파악될 것 같습니다.
<aside> 💡
예를들어, 마이페이지-나의 크레딧 관리의 경우, 선으로 표현해준다면 아래와 같이 표현해줄 수 있습니다.
</aside>
마지막으로 기존 강의 예시로 쓰인 자료들은 지난 문서이기 때문에 업데이트가 안된 부분들이 있어, 단순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주시고 직접 사이트를 이용해보시면서 구조를 파악하고 문서를 제작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:)
코멘트
과제 수행하시느라 정말 고생많으셨습니다! 도식화 문서라는 트리구조 IA의 특성을 이해하고 위의 점들을 개선해주신다면 트리구조의 도식화 장점을 살리고, 타 직군이 봤을 때도 한눈에 이해할 수 있는 문서가 될거라고 생각됩니다: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