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aside> 💡
[총 피드백]
과제 수행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! 이번에는 실제 플로우를 경험해보고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해 어느 부분이 불편한지, 어떻게 개선하면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켜줄 수 있을지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을것 같습니다.
먼저, 사용자의 가장 큰 니즈인 **‘예산’**과 **‘시공항목’**이라는 구체화해준 점이 아주 좋았습니다! 👍 인테리어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일텐데, 예산에 따라 시공항목을 추천해줄 수 있다는 점이 굉장히 설득력이 있는 솔루션인 것 같아요.
이외에도 몇가지 추가해보면 좋을 항목들 같이 제안드려봅니다.
</aside>
1단계 공간 유형에서 **‘시공할 공간의 평수를 입력하게 해준다’**는 솔루션을 제안해주셨는데요, 상업공간이나 방이 많은 공간이라면 평수뿐만 아니라 ‘층수’나 ‘방 개수’와 같은 정보도 받아둔다면 시공 정보를 받는데 더 도움이 될 것 같아요.
타겟이 30대 여성 / “이사할 집이 원룸인 경우”라면 예산이 백만원대 일 수도 있기 때문에 예산의 범위를 촘촘하게 설정해주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.
예산 범위가 넓을 경우, 객관식 형이 아닌 아래와 같이 가격 숫자 슬라이더를 이용해 가격을 설정해줄 수도 있습니다.
<aside>
💡
예시 사진)

</aside>
이외에 다른 부분들은 너무 잘해주신 것 같습니다 👍 위 정보들을 잘 활용해보시고, 적용해보면 더 구체적이고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아요! 과제 수행하시느라 너무 고생 많으셨습니다 :)